devops
4 posts
CKA 시험 완전 정복: 실무 경험자의 합격 후기와 핵심 kubectl 명령어

들어가며 Kubernetes 운영자로서 CKA(Certified Kubernetes Administrator) 자격증은 필수가 되었습니다. 실무에서 Kubernetes를 운영하면서 체계적인 지식 정리와 공식 인증의 필요성을 느껴 CKA 시험에 도전하게 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한 CKA 시험 준비 과정과 합격 후기, 그리고 시험에서 자주 나오는 kubectl 명령어들을 정리해보겠습니다. CKA 시험 개요 CKA는 Cloud Native Computing Foundation(CNCF)에서 주관하는 Kubernetes 관리자 자격증으로, 실무 중심의 핸즈온 시험입니다. 시험 정보 (2025년 업데이트) 시험 시간: 2시간 문제 수: 15-20문제 합격 점수: 74점 (2025년 2월부터 상향 조정) 시험 방식: 온라인 실습 시험 (100% 실습, 객관식 없음) 유효 기간: 3년 Kubernetes 버전: v1.33 기준 클러스터 환경: 6개의 서로 다른 클러스터에…

July 06, 2025
devops
Docker Compose로 로컬 개발환경 구축하기 - 개발 생산성 혁신 가이드

Docker Compose로 로컬 개발환경 구축하기 “내 컴퓨터에서는 잘 되는데?”라는 말을 더 이상 듣고 싶지 않다면, Docker Compose를 활용한 표준화된 개발환경 구축이 답입니다. 이 글에서는 Spring Boot 백엔드 개발자를 위한 완전한 Docker Compose 개발환경 구축 방법을 실무 중심으로 다루겠습니다. 1. 개발환경 표준화의 필요성 “내 컴퓨터에서는 잘 되는데?” 문제 해결 전통적인 로컬 개발환경의 문제점: 결과: 각자 다른 환경에서 서로 다른 버그 발생 😱 Docker Compose의 장점 일관성: 모든 개발자가 동일한 환경에서 작업 격리: 기존 시스템에 영향 없이 독립적인 환경 구성 재현 가능: 언제든 깨끗한 상태로 초기화 가능 확장성: 새로운 서비스 추가가 간단 팀 온보딩: 새 팀원이 5분 만에 개발 환경 구축 2. Docker Compose 기초 2.1 Docker vs Docker Compose Docker (단일 컨테이너): Docker Co…

July 01, 2025
devops
GitHub Actions로 Spring Boot CI/CD 파이프라인 구축

GitHub Actions로 Spring Boot CI/CD 파이프라인 구축 현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CI/CD는 필수적인 개발 프로세스가 되었습니다. 특히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GitHub Actions를 활용하면 코드 변경부터 운영 환경 배포까지의 전체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GitHub Actions를 사용하여 Spring Boot 프로젝트의 완전한 CI/CD 파이프라인을 구축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알아보겠습니다. 1. CI/CD와 GitHub Actions 소개 CI/CD란? CI (Continuous Integration) 는 코드 변경사항을 지속적으로 통합하고 자동으로 빌드, 테스트하는 프로세스입니다. CD (Continuous Deployment/Delivery) 는 검증된 코드를 자동으로 운영 환경에 배포하는 프로세스입니다. GitHub Actions의 장점 완전 무료 (퍼블릭 레포지토리) GitHub과 완벽 연동 풍부한 마…

July 01, 2025
devops
post-receive를 활용한 젠킨스 CI (github없이 CI하기)

github, gitlab등의 웹호스팅 기반 서비스를 사용한다면 젠킨스와 연동하기 쉬운데요. 여러가지 이유로 설치형 git을 사용해야만 하는 경우 CI를 어떤식으로 진행하는지 정리해봤습니다. 세 줄 요약 젠킨스 빌드를 원격으로 유발하는 URL 설정 git이 설치된 서버에 post-receive git hooks 설정 post-receive script 코드에 1번 URL을 연결 1. 젠킨스 설치 docker등의 가상환경에서 구축하는 방법도 있지만 지금은 windows 환경에서 설치해보겠습니다. 1.1 설치파일 다운로드 https://www.jenkins.io/ 에서 설치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port를 설정합니다. 이번에는 1234로 설정하겠습니다. JDK 설정을 해줘야하는데 공식사이트를 잘 읽어보면 8과 11만 지원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나중에는 어떻게 바뀔지 모르니 공식 문서를 꼭 정독하시고 적절한 JDK 버전을 설정해주세요. localhost:1234에 접속해 보겠습니…

May 17, 2021
devops